본문 바로가기
인물&사건

백년 전 실종 히말라야 등반가 흔적 발견, 등반사 바꾸나?

by gogoworld 2025. 4. 12.
반응형

어바인

 
1924년 세계 최고봉 히말라야산 등정을 시도하다 조지 맬러리George Mallory와 함께 실종된 앤드류 코민 "샌디" 어바인 Andrew Comyn “Sandy” Irvine 것으로 추정되는 유류가 실종 백년 만인 작년에 발견되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팀이 다큐멘터리 촬영 중 이 유해를 발견하면서 두 사람이 사망하기 전에 정상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논의가 다시 불붙었다. 

당시 22세 어바인과 37세 맬러리는 1924년 6월 8일, 에베레스트 산 최초 등정을 시도하던 중 마지막으로 목격되었다.

그러나 불운한 하산 전에 그들이 등반을 성공했는지는 아직 불분명하다.

맬러리 시신은 1999년 미국 등반가 콘래드 앵커Conrad Anker가 발견했지만, 어바인 행방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최근 어바인 발로 추정되는 유류가 에베레스트 북벽 North Face of Everest 아래, 중앙 롱북 빙하 Central Rongbuk Glacier에서 발견되었다.

그의 이름을 새긴 부츠와 양말에 싸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이 발은 맬러리 유해보다 낮은 고도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어바인이 산 아래로 더 깊이 추락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전문 등반가이자 감독인 지미 친Jimmy Chin은 영화 제작자 에리히 뢰프케Erich Roepke, 마크 피셔Mark Fisher와 함께 팀을 이끌었다.

친은 부츠를 발견한 순간을 이렇게 묘사했다. "양말을 들어 올려 보니 A.C. 어바인이라고 적힌 빨간색 라벨이 붙어 있었다."

수십 년 동안 역사가, 등반가, 그리고 어바인 가족은 이 젊은 산악인의 운명에 대해 추측해 왔다.

그의 종손녀이자 전기 작가인 줄리 서머스Julie Summers는 이 발견을 접한 후 자신의 감정을 토로했다. "지미가 부츠 안쪽 양말 라벨에서 A.C. 어바인이라는 이름을 봤다고 말했을 때, 나는 눈물이 났다. 정말 특별하고 가슴 아픈 순간이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고 그녀는 가디언지Guardian에 말했다.

어바인과 맬러리가 정상에 올랐는지에 대한 미스터리지만, 이 발견은 어바인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코닥 카메라Kodak camera를 되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다시 불러일으켰다.

만약 발견된다면, 그들의 잠재적인 정상 등정을 보여주는 사진 증거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등산의 역사를 다시 쓸 것이다.
 

대략 백년 전 코닥 카메라

 
어바인과 맬러리 원정 29년 후인 1953년, 에드먼드 힐러리Edmund Hillary와 텐징 노르가이Tenzing Norgay가 공식적으로 정상에 처음 올랐다.

이 발견은 에베레스트 북쪽 지역을 관할하는 중국 티베트 등산 협회China Tibet Mountaineering Association와 1924년 탐험을 공동 기획한 영국 왕립지리학회Royal Geographical Society에 보고되었다.

어빈의 가족은 유해 신원 확인을 위해 DNA 샘플을 제공하기로 자원했다.

영국 왕립지리학회 이사인 조 스미스Joe Smith 교수는 "샌디는 뛰어난 인물이었으며 에베레스트와 히말라야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라고 말했다.

이번 발견으로 중요한 새로운 증거가 제시되었지만, 어바인의 카메라를 포함한 더 많은 유물에 대한 탐색은 계속되고 있다. 

후속 소식이 어찌 되었는지 모르겠다.

저 카메라가 등반사를 바꾸려나? 
 
https://archaeologymag.com/2024/10/foot-of-everest-explorer-sandy-irvine-discovered/

 

Remains of Everest explorer Sandy Irvine discovered 100 years after his disappearance

Remains of British Mount Everest Explorer Sandy Irvine, Including His Foot, Discovered Over 100 Years After His Disappearance

archaeologyma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