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chaeologyWorld

메니스코프시아Meniscopsia, 삼엽충계의 귀한 손님 본문

nature

메니스코프시아Meniscopsia, 삼엽충계의 귀한 손님

gogoworld 2025. 3. 18. 02:09
반응형

 

삼엽충Trilobite 화석이다.

미국 유타주 위크스 지층Weeks Formation은 잘 보존된 중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Middle Cambrian trilobites의 놀라운 다양성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곳이다.

20여 종 이상의 삼엽충이 머스타드색 퇴적층mustard-toned sedimentary layers에서 나타났다.

길이가 1인치(2.54cm)인 이 메니스코프시아Meniscopsia는 보기 드문 속genus이다.

이 지층에서 1세기 이상 탐사와 발굴을 했지만 완전한 예가 20개체도 채 발견되지 않았다.

 

이 참에 익숙하기는 하나 삼엽충이라는 분 정리 좀 해 보자. 

삼엽충Trilobites은 "세 개 엽을 가진 개체"라는 뜻이라 물론 멸종한 해양 절지동물로, 삼엽충강Trilobita을 구성한다.

화석 기록에 나타난 가장 초기 절지동물 그룹 중 하나로 모든 초기 동물 중 가장 성공적인 종으로, 약 2억 7천만 년 동안 바다에 살았으며 2만 2천 종 이상이 기록되었으니 얼마나 쪽수가 많아?

삼엽충은 다양성이 매우 높고 방해석calcite으로 이루어진 광물화한 외골격을 쉽게 화석화할 수 있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화석 기록을 남겼다.

삼엽충 화석 연구는 생층서학, 고생물학, 진화생물학, 판구조론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형태적으로 삼엽충과 유사하지만 대부분 광물화되지 않은 많은 생물을 포함하는 절지동물계통군clade Artiopoda에 속하기는 한다. 다만 다른 절지동물의 관계는 불확실하다고.

삼엽충은 다양한 생태적 지위로 진화했다. 일부는 포식자, 청소 동물, 또는 여과 섭식자로 해저를 이동했고, 일부는 플랑크톤을 먹으며 헤엄쳤다. 심지어 육지로 기어 올라오는 경우도 있었다.

현대 해양 절지동물에서 예상되는 대부분의 생활 양식을 삼엽충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기생 생활(과학적 논쟁이 계속되고 있음)은 예외일 수 있다.

일부 삼엽충(특히 올레니데Olenidae)은 유황을 먹는 박테리아와 공생 관계를 맺고 그로부터 양분을 얻었을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가장 큰 삼엽충은 길이가 70cm(28인치)가 넘었고 무게는 최대 4.5kg(9.9파운드)에 달했을 수 있다. 이 정도면 영덕 대게보다 큰 거 아닌가? 

삼엽충이 화석 기록에 처음 등장한 것은 약 5억 2천 1백만 년 전, 초기 캄브리아기의 아타바니아기/캄브리아기 3단계 Atdabanian/Cambrian Stage 3시기다.

삼엽충은 이미 다양했고, 발생 직후에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었다. 후기 캄브리아기-오르도비스Cambrian–Ordovician기에다양성의 정점에 도달했고, 이어지는 실루리아기와 초기 데본기에도 다양성을 유지했다.

중후기 데본기에는 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했는데 타가닉 사건, 후기 데본기 대량 멸종/켈바서 사건, 한겐버그/데본기 말 대량 멸종을 포함한 연속적인 멸종 사건 영향을 받아 대부분의 삼엽충은 다양성이 사라지고 프로에티다만 유일하게 살아남은 목으로 남았다.

삼엽충의 다양성은 초기 석탄기 동안 적당히 회복되었지만, 후기 석탄기와 페름기에는 지속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존재가 끝날 때까지 널리 분포했다.

마지막 삼엽충은 약 2억 5,190만 년 전 페름기 말 대량 멸종 사건으로 사라졌으며, 그때쯤에는 소수 종만이 남아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