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물톱아보기

금속 이음새를 쓴 콜럼버스 이전 아메리카 대륙

by gogoworld 2025. 3. 22.
반응형

 

전 세계 거석, 사원 및 기타 선사 시대 기념물에서 흔히 발견되는 이음새 일종인 금속 클램프clamps다. 

건설자들이 돌 블록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작은 금속 클램프를 사용하거나 필요로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기술은 수천 년 전 고대 이집트, 콜럼버스 이전 페루, 캄보디아로 어떻게 퍼졌을까? 아니면 문화권별 자체 발명일까? 

후자 특성도 농후하다 봐야 할 듯하다. 

T-Grooves에서 금속 클램프를 사용한 사례가 티아우아나코Tiahuanaco, Ollantaytambo, Koricancha, Yuroc Rumi 유적, Vilcabamba 같은 콜럼버스 이전 남미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돌은 나무에 견주어 수축과 이완이 상대적으로 적다. 아니 매우 적다. 

나무는 특히 습기에 민감해서 습기가 많으면 물먹은 스펀지처럼 팅팅 불어나지만 건조할수록 쪼그라들대로 쪼그라든다. 

따라서 그 재료에 따라 저런 이음새 혹은 연결새는 기능이 좀 다르지 않을까 싶다. 

 

은장隱藏, 어디서 굴러먹다 온 뼈다귀인가?

 

 

은장隱藏, 어디서 굴러먹다 온 뼈다귀인가?

은장隱藏은 석재 연접 이음재(stone-joint clamp)로써 결속력과 내진력을 강화하여 석조물의 구조적 안정을 꾀한 보강기술이며, 세계 건축사적으로 ‘건식 마름돌 축조(dry ashlar masonry)’에서 접착제

historylibrary.net

 

 

나비장, 만들고 쇳물을 부었나?

 

 

나비장, 만들고 쇳물을 부었나?

이걸 생긴 모양새가 나비 날개처럼 생겼다 해서 나비장이니 하는 이름으로 일컫는 것으로 아는데 이 전통은 분명 서양 쪽에서 유래한 것이고, 이런 흔적이 내 기억에 삼국시대는 모르겠고 통일

historylibrary.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