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장실2 로마 화장실, 집에서는 어떤 구조? 지금까지 본 로마시대 화장실은 공중변소였다. 똥도 싸고 담소도 나누고 하는 통로였다면이건 사가 화장실이다. 저들이라고 맨날맨날 똥 싼다고 마을회관을 이용할 수는 없었으니 당연히 집에도 화장실이 있어야 했다.그 화장실 구조 개략은 저렇다는 뜻이다.폼페이랑 헤르클라네움은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에 일순간 매몰했다 출현한 도시 유적이라 그네들 일상을 엿보게 하는 자료가 한둘이겠는가?그네들 사가 화장실로 고스란히 드러났는데 그 구조가 저렇다 한다.일단 싸고서 양동이로 물을 뿌려서 씻겨 내렸고, 건디기는 스폰지 스틱으로 처리했다는 뜻이다.아무리 저래도 저 시대 완전한 수세식이 아니라서 씻겨 내려가는 데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고 그런 까닭에 위생 문제가 보통은 아니었을 것 같은 생각은 든다.하수종말처리장이 있.. 2025. 3. 12. 변방 요새에 만든 로마 변소 The best-preserved Roman latrine in Britain is located at Housesteads Roman Fort along Hadrian’s Wall in Northumberland, England. Built around the 2nd century AD.영국에서 가장 잘 보존된 로마 시대 변소는 영국 노섬벌랜드 하드리아누스 성벽을 따라 있는 Housesteads Roman Fort에 있다.서기 122년 아드리아누스 성벽Hadrian's wall을 쌓을 때 같이 지은 것으로 본다는 이 화장실은 요새에 주둔한 로마 군인들이 사용한 정교한 위생 시스템 일부다.열쇠 구멍 모양 좌석이 있는 석재 벤치와 흐르는 물 배수 시스템이 있었다. 이 공동 화장실 구역은 제국 북부 변경 지.. 2025. 3.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