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발balbal이라는 말은 흔히 인간을 형상화한 석조물로 해석된다.
발발은 약 5,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청동기 시대부터 등장한다.
스키타이, 투르크, 몽골, 카자흐를 포함한 많은 문화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발발이라는 단어는 튀르크어 "바바"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아버지" 또는 "조상"을 의미한다.
동카자흐스탄 영토에서 발견된 석상 중 가장 흔한 것은 남성 전사들의 모습이다.
카자흐스탄 초원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발발이 발견되었다.
그것들은 화강암이나 사암으로 조각되었고 동시에 여행자들을 위한 우상, 이정표, 도로 표지판으로 보인다.
그것들은 종종 중요한 사람들의 무덤 표식이나 숭배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
일부 석상은 다리를 꼬고 앉아 있다.
이는 "카자흐 스타일"로, 다른 석상은 신성한 물이 담긴 의식용 그릇을 들고 높이 약 1미터 또는 0.5미터 정도 되는 똑바로 서 있는 사람을 묘사한다.
일부 조각품은 허리띠에 레이스와 칼을 새겼거나, 다른 무기를 새겼거나, 머리띠나 귀에 귀걸이를 달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군사 지도자, 즉 저명한 사령관 또는 전사의 동상으로 간주한다.
이후의 조각상 중에는 남성 조각상과 함께 여성을 기리는 여성 발발도 있다.
발발 스타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었고 인간의 얼굴과 복식 장신구를 묘사하는 데 있어서 점차적으로 더욱 세밀해졌다.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교가 부상하면서 발발의 창조는 줄어들었다.
인간의 표현을 금지하는 종교이기 때문이다.
'문화유산현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을 수 없는 폼페이 프레스코화 해설법 (0) | 2024.12.25 |
---|---|
기둥 뿌리 세 개 달랑 남은 델피 톨로스 Tholos of Delphi (0) | 2024.12.23 |
시칠리아 그리스 식민도시가 건설하다 중단한 세게스타 신전 Segesta temple (1) | 2024.12.22 |
황소를 물어뜯는 페르세폴리스 아케메네스 사자 (0) | 2024.12.21 |
노트르담 대성당이 쏟아낸 보물들 (1) | 2024.12.21 |